유상감자 무상감자
주식에서 유상감자와 무상감 자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이것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정확히 알고 있는 투자자들은 많지 않습니다.
이 내용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는
감자의 의미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자란?
감자는 증자와 반대 개념으로, 자본감소를 줄인 말이다. 사업 내용의 축소 등으로 불필요해진 회사 재산을 사원이나 주주에게 반환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실질적 감자(유상감자)와 회계상으로 자본금을 줄여 자본잠식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지는
형식상 감자(무상감자)로 나뉜다.
참고로, 공시되는 대부분의 감자는 무상감 자이다.
즉, 쉽게 말해 자본감소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감자는 크게 유상감자와 무상감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것들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상감자란?
유상감자는 기업의 규모에 비해 자본금이 지나치게 많다고 판단될 경우에 그 자본금 규모를 적정하게 줄임으로써 기업가치를 향상하고 주가도 높이는 목적, 투자자금의 회수 목적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자본금이 많을 수록 안정적인 기업이긴 하지만, 기업의 규모에 비해 자본금이 지나치게 많으면 자기 자본비율이 낮아져,
주주 배당금이 줄어 경영압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고, 투자자금의 회수를 목적으로 주주들에게 자본금을 돌려주는 방편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무상감자란?
무상감자는 형식상 감자라고도 하는데, 적자가 계속될 경우 자본잠식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자본금 규모를 줄여 회계상 손실을
털기 위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행해지는 것이 무상감자다. 자본금은 줄지만 총자산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주주에게 아무런 보상을
하지 않으므로, 구주주들에게는 좋지 않은 이벤트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기업은 장기적으로 투자 증가, 유동성 감소로 인한 주가향상 등의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무조건 악영향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유상감자는 자본금을 일부 줄이면서
기업가치를 높이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무상감자는 대부분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이루어지는
형식 상의 자본금 감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것들이
주가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유상감자의 영향
유상감자는 주가에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주식물량이 줄어서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자기 자본 대비 매출액의 증가로 인해 배당금의 향상에도 영향을 줍니다.
주식 유통물량이 줄어드는 만큼 유동성 부족 효과로 주가가 상승의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 자본금이 줄어드는 만큼 기업의 안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겠죠? 불량 유상감자인지 우량 유상감자인지 확실한 판단도 필요합니다.
즉 유상감자는 주가에 긍정적일 확률이 높고
무상감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무조건
'그렇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감자가 일어나는 시기와 상황마다 다릅니다.
따라서 기업의 상황과 감자가 일어나는 시기를 토대로
주가의 방향을 예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댓글